강봉균 서울대 교수 연구팀, 기억 사라지는 원리를 신경세포 간의 연결점인 '시냅스' 수준에서 규명
강봉균 서울대 교수 연구팀, 기억 사라지는 원리를 신경세포 간의 연결점인 '시냅스' 수준에서 규명
  • 천덕상 기자
  • 승인 2021.08.09 06: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봉균 서울대 교수 연구팀이 뇌에서 기억이 사라지는 원리를 신경세포 간의 연결점인 '시냅스' 수준에서 규명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신경 과학 분야 최상위 학술지인 국제학술지 뉴런지에 한국시각으로 이날 0시에 발표됐다.

현재까지는 기억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냅스 수준에서의 연구에 한계가 있었는데, 연구진이 개발한 시냅스를 종류별로 구분할 수 있는 기술을 활용해 새롭게 공포학습과 공포 기억소거에 따른 시냅스의 크기 변화를 밝혀내는 데 성공한 것이다.

앞서 연구팀은 2018년 뇌의 '해마'에서 '기억저장 시냅스'를 발견함으로써 기억이 신경세포의 시냅스에 저장될 것이라는 도널드 헵의 가설을 세계 최초로 실험으로 증명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더 나아가 공포를 관장하는 뇌의 '편도체'에서 공포기억의 생성·소거에 따라 기억저장 시냅스의 구조적 변화를 관찰해 '기억저장 시냅스'가 뇌에서 기억을 저장하는 중요한 단위이자 기억의 상태를 반영하는 '물리적 실체'임을 명확하게 증명했다.

특히 기억을 사라지게 하는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트라우마) 같은 정신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적절한 기억 소거로 공포 반응이 사라진다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봉균 교수는 "기존에 시도했던 곳과 완전히 다른 뇌의 영역에서 시냅스를 분석하는 과정이 쉽지 않았지만, 연구원들의 협동과 노력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며 "기억저장 시냅스가 뇌에서 기억을 저장하는 중요한 단위라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기억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공포기억 소거를 통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 등 질병 치료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