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을 통해 섭취된 미세플라스틱, 뇌 안에 축적돼 신경독성 물질로 작용
입을 통해 섭취된 미세플라스틱, 뇌 안에 축적돼 신경독성 물질로 작용
  • 진영동 기자
  • 승인 2021.10.28 05: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바이오융합연구부 최성균, 이성준 박사 연구팀은 입을 통해 섭취된 미세플라스틱이 뇌 안에 축적돼 신경독성 물질로 작용한다는 것을 동물실험과 면역반응 분석으로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간 800만t이 버려지고 있는 플라스틱은 자외선과 파도 등에 의해 매우 작은 조작들로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바뀐다. 이는 플랑크톤 등 하위 생명체들이 먹게 돼 향후 먹이 사슬 최상위에 위치한 인간에게 위협을 주고 있다.

이에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의 유해성을 파악하기 위해 생쥐에게 2㎛ 이하의 미세플라스틱을 7일 동안 경구 투여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생쥐의 신장과 장, 심지어 뇌까지 미세플라스틱이 축적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때 2㎛ 이하 초미세플라스틱은 위험한 물질이 뇌 안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는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마저도 통과해 기체가 아닌 미세플라스틱과 같은 고체도 뇌-혈액-뇌 장벽을 통과하는 이례적인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면역염색법을 적용, 미세플라스틱이 뇌 내 미세아교세포에 축척된다는 사실도 발견하는데 성공했다.

이때 미세플라스틱을 크기별로(0.2㎛, 2㎛, 10㎛) 실험해 본 결과 2㎛이하 미세플라스틱이 미세아교세포의 세포질 부위에 축적, 수십 시간 이후 세포증식능력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미세아교세포에서 미세플라스틱을 외부 위협으로 인식, 이를 먹어 제거하는 식작용(phagocytosis)이 발생하고 이후 세포 형태변화에 따른 세포사멸로 이어지는 것이라 설명했다.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이 동물 뇌에 미치는 영향과 면역반응의 변화를 분자생물학적인 수준에서 확인하는데 성공했다.

미세플라스틱 섭취 초기부터 미세아교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M1지표(염증활성화)와  M2대식세포 지표(염증완화)가 감소됐으며 7일간 이후엔 두 지표가 급격히 감소하며 세포사멸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미세플라스틱이 일정 시간 이상 축적될 경우 뇌 안에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신경독성 물질로 작용할 수 있음을 뜻한다.

최성균 선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미세플라스틱이 특히 2㎛이하 미세플라스틱이 7일 이내 단기간 섭취에도 뇌에 축적이 시작되고 그에 따른 미세아교세포의 사멸과 면역, 염증반응의 변화를 확인한 연구다"며 "연구 결과를 초석으로 삼아 미세플라스틱의 뇌 축척과 그로 인한 신경독성 유발 기전을 더 밝혀 낼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