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 진드기' 통해 감염되는 SFTS, 사람뿐 아니라 반려견도 감염 위험에 노출
'살인 진드기' 통해 감염되는 SFTS, 사람뿐 아니라 반려견도 감염 위험에 노출
  • 전현철 기자
  • 승인 2021.11.10 05: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대학교는 김범석 교수팀(수의대 수의학과)이 실험견을 통해 감염 경로가 불확실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의 실험적 감염과 전파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해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고 9일 밝혔다.

이른바 '살인 진드기'를 통해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진 SFTS은 사람뿐 아니라 반려견도 감염 위험에 노출된 질병이다.

반려견이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사례가 임상적으로 보고되고 있고, 사람에게까지 전파된 것으로 의심되는 사례 또한 보고됐지만, 현재까지 상용화된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질병 예방 및 방역을 위한 SFTS 전파 동물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전북대 수의대 생체안전성연구소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의 협업으로 이뤄진 이번 연구 결과는 수의학 및 감염병 분야 대표 국제학술지인 'Transboundary and Emerging Disease'(IF 5.0, JCR 상위 1.5%) 최신 호에 게재됐다.

김 교수팀은 서로 다른 면역 능력을 갖춘 실험견에서 SFTS 바이러스 감염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면역 능력이 감소한 실험견이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나타날 병변을 실험적으로 확인했으며, 면역력이 감소한 뒤 이 질병에 걸린 실험견과 면역 능력을 갖춘 실험견과 합사했을 경우 이 질병이 체액에 의해 전파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이번 연구 성과는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가 갖춘 '중대형 동물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을 활용해 연구가 진행돼 특수 연구시설에 대한 중요성도 다시 한번 각인시켰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면역 능력이 감소한 반려견이 SFTS에 걸릴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여 전파 매개체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며 "그러나 반려견의 면역력과 접촉 시간 등 다양한 부분이 고려돼야 하므로 감염된 반려견으로부터 반드시 직접적인 전파를 일으키는 것으로 확대 해석 하는 것은 지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추가 연구를 통해 다양한 상황에 따른 정확한 위험도를 파악할 계획"이라며 "반려견의 감염과 전파 매개체로서의 가능성을 일부 확인한 만큼 사람과 반려견 모두 진드기 노출을 최대한 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사업단(GFID), 교육부의 이공분야 중점연구소지원사업 및 전북도의 연구 지원에 의해 수행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