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의대 장근아 박사 연구팀, 우울증 일으키는 뇌신경회로망 역할과 새로운 기전 규명
가천대의대 장근아 박사 연구팀, 우울증 일으키는 뇌신경회로망 역할과 새로운 기전 규명
  • 최민규 기자
  • 승인 2022.02.07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뇌연구원(KBRI) 구자욱 박사 연구팀은 가천대의대 장근아 박사 연구팀과 함께 사회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우울증을 일으키는 뇌신경회로망의 역할과 함께 이들 회로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글루타메이트 및 하위 신호전달경로 등 새로운 기전을 규명했다고 5일 밝혔다.   

글루타메이트(glutamate)는 주로 중추신경계에서 분비되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이다.

연구결과는 정신의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의 국제 학술지 Biological Psychiatry에 지난달 24일 온라인 게재됐으며 한국연구재단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한국뇌연구원 기관고유사업의 도움을 받아 진행됐다.

연구진은 군대 폭력 및 학교 폭력 등을 유사 모델화한 사회 패배 스트레스에 생쥐를 10일간 노출시켜 사회성 행동이 현저히 떨어진 경우 기저외측 편도체 (basolateral amygdala)로부터 투사되는 글루타메이트성 뇌신경회로망의 활성이 우울증 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밝혔다.

해당 동물 모델에서 스트레스에 취약해 우울증 행동을 보이는 쥐는 기저외측 편도체(basolateral amygdala)로부터 전전두엽 (prefrontal cortex)와 복측 해마(ventral hippocampus)로의 글루타메이트성 신호전달이 유의미하게 감소돼 있음을 보였다.

빛을 사용해 신경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 기술인 광유전학 기법을 이용, 편도체로부터 전전두엽 또는 복측 해마로의 신경회로를 활성화했을 때 10일간의 만성 사회적 패배 스트레스를 받더라도 우울증 행동이 사라짐을 관찰했다.

연구팀은 해당 행동 모델에서 편도체로부터 글루타메이트 신호를 받는 전전두엽과 복측 해마에서 수많은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중에 오직 mGluR5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 5)가 스트레스에 취약한 개체에서 더 적게 발현함을 밝혀냈다.

기저외측 편도체로부터의 투사되는 신경회로 말단에서 분비되는 글루타메이트 신호를 전전두엽과 복측 해마의 신경세포에 발현하는 mGluR5를 통해 전달했다.

바이러스를 활용해 전전두엽과 복측 해마의 신경세포에 mGluR5의 발현을 증가시켰을 때 10일간의 만성 사회적 패배 스트레스를 받더라도 우울증 행동이 사라짐을 관찰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결과는 우울증 및 자살사고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신경생물학적 기전 이해와 항우울제 신약개발에 관한 좋은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