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부동산 규제 탓…작년 인구이동률 47년 만에 최저
고령화·부동산 규제 탓…작년 인구이동률 47년 만에 최저
  • 뉴시스
  • 승인 2020.01.29 13: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계청, '2019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 발표
지난해 인구 이동자 수 1976년 이래 최저 기록
주거비 부담 때문에…서울 30년째 순유출 지속
"9·13 부동산 대책으로 주택거래양 감소 영향"

정부가 내놓은 부동산 정책과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이동률이 47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주거비 부담 탓에 서울을 떠나는 '탈서울' 흐름도 30년째 지속됐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19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인구 이동자 수는 전년보다 2.6%(19만3000명) 감소한 710만4000명이었다. 이는 1976년 677만3000명 이후 43년 만에 가장 작은 규모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1년 전보다 0.4%포인트(p) 감소한 13.8%에 그쳤다. 1972년(11.0%) 이후 47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무른 셈이다.

시도 내 이동은 전체 이동자 중 66.4%(471만9000명), 시도 간 이동은 33.6%(238만5000명)로 1년 전보다 각각 3.0%, 1.8% 내려앉았다. 시도 내 이동률은 9.2%, 시도 간 이동률은 4.6%로 각각 0.3%p, 0.1%p 줄어들면서 총 인구이동률을 끌어내렸다.

인구 이동자 수는 1970년(404만7000명) 통계 작성 이후 1972년(368만8000명) 바닥을 찍은 뒤 1988년 996만9000명까지 치솟았다. 그 이후로는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60세 이상 고령 인구가 늘어나는 게 주요 요인이다. 연령대별 이동률을 보면 20대(23.1%)와 30대(21.0%)가 가장 높았다. 반면 60대는 8.7%, 70대 6.6%, 80세 이상 7.6%에 그쳤다. 중위연령(나이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있는 사람)은 전년보다 0.1세 감소한 34.1세였지만, 10년 전인 2009년에 비교하면 2.4세 더 높아졌다.

인구 이동을 많이 하는 20~30대 인구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고 이동 성향이 낮은 60세 이상 고령 인구가 늘어나면서 장기적으로 인구 이동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교통·통신의 발달로 원거리 통학이나 출·퇴근이 가능해지면서 가족 단위 이동이 줄어든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신규 입주 예정 아파트는 전년보다 11.6%(5만3000건)가 감소했으며 주택매매 거래량도 1년 전보다 6.0%(5만1000건) 줄면서 인구 이동을 끌어내렸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2018년 정부가 내놓은 9·13 부동산 대책의 영향으로 주택매매 거래량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성별 이동률은 남성 14.2%, 여성 13.5%로 남성이 여성보다 0.7%p 높았다. 여성 100명당 남성 이동자 수를 의미하는 이동률 성비는 105.0명으로 전년보다 0.9명 늘었다. 연령별 이동률 성비는 30대가 108.7명으로 가장 높고 70대부터 100명 이하로 감소했다.

시도별 전입률은 세종(25.3%), 광주(15.0%), 서울·경기(14.9%) 순으로 높았으며 전출률은 세종(18.0%), 대전(15.5%), 서울(15.4%) 순으로 나타났다.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시도는 경기(13만5000명), 세종(2만4000명), 제주·충북(3000명) 등 5개 시도였다.

반면 전입자보다 전출자가 많아 순유출이 발생한 시도는 서울(-5만명), 대구(-2만4000명), 부산(-2만3000명) 등 12개 시도였다. 서울의 순유출 규모는 2018년(11만명)보다는 줄었지만, 1990년부터 30년째 한 해도 거르지 않고 '탈서울' 현상이 지속됐다.

서울 전입자의 50.9%는 경기에서 이동했으며, 전출자의 63.6%는 경기로 빠져나갔다. 경기 전입자의 52.3%는 서울에서 이동했으며, 전출자의 48.0%는 서울로 거처를 옮겼다. 세종으로의 전입은 인근 지역인 대전(37.6%) 비중이 높았다.

인구이동 사유로는 주택(38.8%), 가족(23.8%), 직업(21.6%)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주택 사유(-16만3000명)에 의한 이동자 수가 가장 많이 감소했다. 시도 내 이동 사유는 주택(47.8%)이, 시도 간 이동 사유는 직업(34.8%)이 가장 많았다.

순유입률이 높은 세종과 경기는 주택 때문에 전입했으며 제주와 충북은 직업 때문이었다. 순유출률이 높은 대전과 서울의 순유출 사유는 주택이었으며 울산, 경남, 전북 등 8개 시도는 직업이었다. 구조조정 여파로 일자리를 찾는 20대들이 영남권에 집중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4대 권역별로 봤을 때 수도권은 8만3000명이 순유입했다. 2017년 순유입으로 전환한 이후 전년 대비 순유입 규모가 2만3000명 증가했다. 중부권도 1만1000명이 순유입됐다. 반면 호남권과 영남권은 각각 2만5000명, 7만1000명 순유출됐다.

 김 과장은 "지난해 수도권 순유입 규모가 8만4000명으로 확대됐다"며 "공공기관의 수도권에서 지방 이전 작업이 지난해 완료되면서 수도권 순유입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2월 국내인구이동은 64만6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6% 증가했다. 시도 내 이동자는 65.4%, 시도 간 이동자는 34.6%를 차지했다. 인구이동률은 14.8%로 1년 전보다 0.6%p 증가했다.

시도별로 보면 경기(1만10명), 전남(3772명), 세종(1711명) 등 6개 시도는 순유입했으며 서울(-3986명), 대구(-3469명), 광주(-2381명) 등 11개 시도는 순유출됐다. 순이동률은 세종(6.0%), 전남(2.4%), 경기(0.9%) 등이 순유입이었고 광주(-1.9%), 대구(-1.7%), 대전(-1.7%) 등은 순유출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