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심뇌혈관 응급대응 '중앙-권역-지역' 체제 구축나서
정부, 심뇌혈관 응급대응 '중앙-권역-지역' 체제 구축나서
  • 뉴시스
  • 승인 2018.09.04 13: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건복지부, 제1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2018~2022) 발표
심뇌혈관질환 사망 24.3% 차지…고령화 영향 사회적비용 증가세
오는 2020년까지 심뇌혈관 종합포털사이트 구축 계획도 밝혀

고령화 영향으로 매년 심뇌혈관질환 환자가 증가하면서 그로 인한 사회적비용이 늘어나자 정부가 지역사회 응급대응 안전망 확충을 위한 중앙-권역-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 체제를 구축에 나섰다.   

 보건복지부는 4일 심뇌혈관질환관리위원회를 열어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제1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2018~2022)'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심뇌혈관질환은 심장·뇌로 향하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심장·뇌 기능이 손상되는 질환을 말한다. 심근경색, 뇌졸중이 대표적이다. 심뇌혈관 선행질환이라 할 수 있는 고혈압·당뇨병도 포함한다. 
    
 복지부에 따르면 심뇌혈관질환은 우리나라 전체 사망 원인의 24.3%를 차지하고 있으며 심뇌혈관질환의 진료비와 사회경제적 비용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심뇌혈관질환 진료비는 2015년 8조8000억원에서 2016년 9조6000억원으로 9.1% 증가했다. 심뇌혈관질환은 노년층에서 많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인구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부담이 지속적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번 종합계획은 '심뇌혈관질환 걱정 없는 건강한 사회'를 비전으로 급성심근경색·뇌졸중, 고혈압·당뇨병, 심부전 등 심뇌혈관질환을 '예방-치료-관리'하는 전주기적인 관점에서 수립됐다. 

 이에 따라 이번 종합계획은 더 큰 질병으로 발전하기 전의 예방관리, 가까운 곳에서 적정 의료기관을 이용할 수 있는 기반 구축, 후유증・재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사후관리 등에 초점이 맞춰졌다.

 우선 예방을 위해서는 질환의 증상과 대처방법에 대한 정보제공을 강화하고, 심폐소생술 등 초기 대응 방법 교육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시·도, 보건소)와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의 협업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오는 2020년까지 심뇌혈관 종합포털사이트를 구축해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알기 쉬운 정보를 한 곳에서 검색,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아울러 고위험군과 선행질환 관리 강화를 위해 한국인에게 적용가능한 고혈압 등 심혈관계 질환의 고위험군 선별기준과 선별도구・관리지침 등을 개발해 확산할 계획이다.

 이번 종합계획의 핵심은 지역사회 응급대응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다. 환자들이 가까운 곳에서 적정 의료기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구축하자는 것이다. 

 정부는 현재 14개의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지정해 운영(3개 운영 준비)하고 있다. 

 여기에 뇌혈관질환관리 사업의 구심점 역할을 할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를 지정해 운영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응급상황 대처,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1차(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도 지정·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중앙-권역-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로 연계해 촘촘한 심뇌혈관질관 안전망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또 환자의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퇴원 후 체계적인 정보제공과 상담서비스,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등 종합지원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윤태호 공공보건정책관은 "이번 종합대책은 그동안 심뇌혈관질환의 예방과 조기발견・관리를 위해 시행돼 왔던 다양한 사업들을 하나의 방향성에 따라 정리하면서 그동안 정책으로 포괄하지 못했던 환자의 급성기 치료 이후 사후관리까지 범위를 확장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중앙-권역-지역센터 안전망, 환자 지속 관리방안, 통계구축 등 새로운 과제의 구체적인 모델을 조속히 시행해 이번 종합계획이 제대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