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한국형 가스터빈' 만든다…"2030년 글로벌 4강 도약"
산업부, '한국형 가스터빈' 만든다…"2030년 글로벌 4강 도약"
  • 뉴시스
  • 승인 2020.11.30 08: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스터빈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발표
2030년까지 글로벌 4강 도약 비전 제시
300㎿급 대형 가스터빈 상용화 목표
창원에 '가스터빈 시험연구발전소' 구축
경남 창원국가산업단지 내 두산중공업 가스터빈 제작 공장.(사진=두산중공업 제공)
경남 창원국가산업단지 내 두산중공업 가스터빈 제작 공장.(사진=두산중공업 제공)

 산업통상자원부는 2030년 가스터빈 산업 글로벌 4강 도약을 목표로 '한국형 가스터빈' 개발에 나선다고 30일 밝혔다.

산업부는 이날 서울 마포구 한국중부발전 서울발전본부에서 '가스터빈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하고 이런 내용을 담은 '가스터빈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현재 글로벌 발전용 가스터빈 시장은 일부 국가에서 주도하고 있다.

국내 액화천연가스(LNG)복합발전에 설치된 가스터빈 158기 전량도 미국의 GE, 독일의 지멘스, 일본의 미쓰비시히타치파워시스템(MHPS), 이탈리아의 안살도 등 글로벌 빅4 기업의 제품이다.

친환경 에너지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가스터빈과 핵심 부품 모두를 해외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이에 산업부는 국내외 기업, 산·학·연 간 협업 등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한국형 표준 가스터빈 복합 모델을 개발하기로 했다.

이번 대책의 주요 내용을 보면 내년부터 복합발전 성능·기자재 규격 등을 표준화하는 한국형 표준 복합발전 모델 개발·실증이 추진된다. 교체가 예정된 국내 가스터빈 15기에 대한 실증 사업을 통해 약 4조4000억원의 시장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기존 270㎿급 가스터빈 모델을 기반으로 초고효율급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도 진행된다.

2040년까지 300㎿급 수소 전소 가스터빈을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다. 재생에너지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해 80㎿급 중형 가스터빈 개발에도 착수한다.

핵심 부품인 블레이드·베인·대형디스크 3대 분야 기술 확보를 위해 발전소와 중소·중견 부품 제조사 간 공동 R&D도 이뤄진다. 특히, 1650℃급 고온 소재·부품 기술을 확보해 글로벌 공급망에 진입할 계획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9월17일 오후 경남 창원시 창원 스마트그린 산업단지 내 그린뉴딜 추진기업인 두산중공업을 방문, 가스터빈고온부품공장을 시찰하고 있다. 2020.09.17.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9월17일 오후 경남 창원시 창원 스마트그린 산업단지 내 그린뉴딜 추진기업인 두산중공업을 방문, 가스터빈고온부품공장을 시찰하고 있다. 2020.09.17.


부·울·경 지역에는 가스터빈 산업 혁신 클러스터 기반이 조성된다.

앞서 에너지융복합단지로 지정된 경남 창원을 중심으로 '가스터빈 시험연구발전소'가 들어설 예정이다. 중소기업의 기술 관련 고충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지원사업단'도 마련된다.

산업부는 산·학·연 전문기관 간 기술·정보 교류 확대를 위해 내년부터 '가스터빈 혁신성장 포럼'을 운영하기로 했다. 석·박사급 전문 인력 확보를 위한 기술전문 인력 양성 체계도 구축한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안정적 전력 수급 유지를 위해 당분간 LNG발전은 확대 유지될 필요가 있다"며 "이를 위한 가스터빈 기술 자립화는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런 기회를 활용해 산·학·연 간 연대와 협력을 기반으로 국내 가스터빈 산업 생태계를 잘 구축해 나간다면 중장기적으로 수소 발전으로의 에너지 전환과 2050 탄소 중립 사회·경제로 나아가는 튼튼한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