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나라 사당의 술병 ( 欹 器 )
노나라 사당의 술병 ( 欹 器 )
  • 오진원 논설위원
  • 승인 2018.11.07 11: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자는 제자들과 함께 노나라 환공의 사당을 참배하다가 제상에 기울어진 그릇이 놓인 것을 발견하고 사당지기에게 물었다. "저것은 무슨 그릇이오?" 사당지기가 말했다. "환공께서 늘 가까이 두고 좌우명으로 삼으시던 그릇입니다."

"그래, 그 용도를 알겠구나." 공자는 제자를 돌아보며 말했다. "어서 가서 맑은 물을 길어다 부어 보아라."

제자 한 사람이 큰 바가지에 맑은 물을 길어 와서 천천히 부었다. 모두들 숨 죽이며 지켜보았다. 그릇은 물이 조금 들어가자 기울기 시작하더니, 중간까지 물이 들어가자 반듯하게 서고, 주둥이까지 물이 차자 펑 소리를 내며 뒤집혔다. 모두들 신기하여 아무 말도 못하고 공자만 바라보았다. 공자는 손뼉을 치며 감탄했다. "그렇구나, 세상에는 가득 차면 뒤집히지 않는 것이란 없구나."

자로가 물었다. "선생님, 이 그릇이 비었을 때는 기울어졌다가, 중간쯤 찼을 때는 반듯하게 섰고, 가득 찼을 때는 뒤집혔습니다. 여기에 무슨 이치가 있는 것입니까?"

공자가 제자에게 대답했다. "그렇고말고, 사람됨도 이 기울어진 그릇과 같다. 총명하고 박식한 사람은 자기의 어리석은 면을 볼 줄 알아야 하고, 공적이 높은 사람은 겸손하고 사양할 줄 알아야 한다. 용감한 사람은 두려워할 줄 알아야 하고, 부유한 사람은 근검절약할 줄 알아야 한다. 겸손하게 물러나면 손해를 보지 않는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치이다."

▶ 모든 사물에는 적정한 한도가 있다. 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 치우치지 않고, 지나침도 모자람도 없는 적정한 한도를 중용이라 한다. 항상 일과 사물의 반대 측면을 함께 고려해야 실패하지 않는다. 이것이 중용을 지키는 방법이다. 지나치면 덜고, 모자라면 채워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