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부터 인니발 석탄 파동?…전기료 영향 여파 '촉각'
새해부터 인니발 석탄 파동?…전기료 영향 여파 '촉각'
  • 뉴시스
  • 승인 2022.01.04 09: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니, 이달 발전용 유연탄 수출 금지
정부·발전사 "당장 큰 영향 없을 듯"
다만 사태 장기화시 수급 차질 우려
석탄값 올라 전기료 인상압박 여지도
김선웅 기자 = 충남 태안군 석탄가스화복합화력발전소 일대 전경. 2019.12.10. mangusta@newsis.com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 연관 없음.)
김선웅 기자 = 충남 태안군 석탄가스화복합화력발전소 일대 전경. 2019.12.10. mangusta@newsis.com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 연관 없음.)

고은결 기자 = 새해부터 인도네시아의 석탄 수출 금지 조치라는 '날벼락'에 국내 전력 수급과 관련 산업에 미칠 영향이 관심이다. 정부는 이번 조치로 인한 단기적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전기 사용량이 늘어나는 겨울철 전력 수급 불안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인니의 수출 제한이 글로벌 석탄 값을 밀어 올릴 수 있어 국내 발전업계의 고심도 커질 전망이다. 가뜩이나 비싼 연료 가격이 더 뛰어 전기 생산 원가 부담이 늘 수 있기 때문이다.

4일 AFP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1일(현지시간) 인니 에너지광물자원부는 전기 수요 증가로 전력 공급이 중단될 위험이 있다며 오는 31일까지 발전용 유연탄 수출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인니는 세계 최대의 석탄 수출국인데, 자국 내 수급 부족을 이유로 한 달간 수출을 금지하기로 한 것이다. 인니 전력공사가 내수 석탄 구매가격을 톤(t)당 70달러로 제한해, 현지 석탄업체가 톤당 90달러 이상의 고가에 수출하려해 현지 수급이 빠듯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인니가 발전용 유연탄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주요 수입선이란 점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수입 석탄의 국가별 비중은 호주(49%), 인니(20%), 러시아(11%), 미국(9%), 기타(11%) 순이다. 전체 수입 유연탄의 20%를 차지하는 인니산 석탄 수급이 삐걱대면 전력 수급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일단 정부는 이미 확보한 재고량과 다른 국가 수입량을 감안하면 국내 전력 수급에는 크게 문제가 없을 것이란 입장이다.

1월 입고물량 기준으로 인니산 수입 석탄 중 55%는 이미 선적·출항해, 국내에 정상 입고될 예정이다. 또한 이미 수입선이 다원화돼 있어 지난해 '요소수 품귀 사태'와 같은 공급망 위기는 없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발전용 유연탄을 장기 계약하는 발전사들도 급히 대체선 확보에 나설 수준의 위기는 아니라고 봤다. 한 발전사 관계자는 "당장 단기적으로 큰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이지는 않다"며 "이번 조치의 장기화 여부를 지켜보며 대비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다만, 북극 한파로 전기 사용량이 널뛸 수 있는 상황에서 사태가 조금이라도 길어지면 전력 수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견해도 나온다.

정범진 경희대 교수는 "석탄은 기존 장기계약 물량 등이 있지만, 석유나 LNG 등보다 비축 일수가 적다"며 "발전소를 풀 가동하는 동계 전력 피크 시기에 수입에 차질이 생기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석탄발전은 현재 국내 발전량의 30% 수준을 차지하는 만큼 전력 수급 안정에 매우 중요하다. 한국전력의 최신 전력통계월보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국내 총 발전량에서 석탄 발전량의 비중은 32.8%였다.

우리나라는 순차적인 석탄발전 감축을 추진하고 있지만, 전력 수요가 폭증하는 시기에는 여전히 높은 석탄 의존도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7월에는 폭염으로 전력 수요가 늘며 석탄화력발전소의 전체 설비용량 35.3GW 중 90% 이상인 30GW가 매일 가동하기도 했다.

아울러 겨울은 상대적으로 태양광 발전 효율이 낮은데다, 최근 유럽발 천연가스 대란으로 액화천연가스(LNG) 수급까지 안심할 수 없다는 점도 우려를 키우고 있다. 석탄 수급까지 원활하지 않게 되면 전력 수급 비상이 현실화될 수 있어서다. 날씨가 추워져 전력 수요가 폭증하면 상황은 더 심각해진다.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는 "지난달은 평일이 따뜻하고 주말이 추워 운이 좋았지만, 평일이 추워지면 산업용 전력 수요와 가정용 전력 수요가 동시에 크게 늘 수도 있다"며 "여기에 석탄 수급까지 차질이 빚어지면 전력 피크 시기인 1월 중하순 전력 수급이 우려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미 에너지 가격 상승세가 심상찮은 상황에서 국제 석탄 가격이 더 올라 발전 단가 상승에 부채질을 할 수도 있다. 산업부 원자재정보에 따르면 호주 전력용 연료탄은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톤당 165.86달러로, 지난해 연초 대비 105.32% 뛰었다.

일단 정부는 국가 간 석탄 확보 경쟁 과열 및 가격 상승, 중국·인도 전력수급 영향 등에 대한 상황도 점검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산업부 전력혁신정책관을 반장으로 '인니 석탄 수출 금지 조치 대응반'을 운영하고, 에너지 유관 기관 및 해외공관과 협조하며 석탄·전력 수급 관리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