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미스터킴' 칭한 美…"조건 없이 마주 앉자"
김정은 '미스터킴' 칭한 美…"조건 없이 마주 앉자"
  • 뉴시스
  • 승인 2022.12.17 08: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일과 계속 협력…한반도 비핵화 외교적 방법 모색을"
기자회견 하는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

김난영 특파원 = 미국 백악관이 북한의 신형 미사일 엔진 성능 시험과 관련, 지속적인 한반도 위협 역량 개발에 경계를 표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미스터 킴'으로 부르며 대화를 촉구하기도 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16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북한 신형 미사일 엔진과 관련해 "미스터 킴(김정은)은 계속해서 역내와 한반도, 우리 동맹·파트너 및 국가안보 이익에 위협을 제기하는 군사 역량을 추구한다"라고 말했다.

앞서 북한 노동신문과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 참석 하에 평북 철산군 동창리 서해 위성발사장에서 대출력 고체연료발동기(로켓엔진) 첫 지상분출시험에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아울러 이를 "전략적 의의를 가지는 중대 시험"이라고 평했다.

커비 조정관은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일본·한국과 계속 협력할 것"이라며 "한반도와 역내에 계속 병력을 주둔하고, 훈련과 연습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반도 내외 정보 수집 역량을 계속 강화한다는 방침도 재확인했다.

커비 조정관은 또 "미스터 킴과 전제 조건 없이 마주앉겠다는 우리의 제안을 다시 말한다"라며 "그가 조건 없이 이 제안을 받아들여 우리가 한반도 비핵화로 나아갈 외교적인 방법을 모색할 수 있기를 촉구한다"라고 말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그간 북한을 상대로 선제 조건 없이 마주 앉자는 메시지를 꾸준히 발신했다. 그러나 북한은 이런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고 있다.

한편 커비 조정관은 최근 보도된 미국의 한국 포탄 10만 발 구입과 관련, 이를 전략 재고에 비축할지 우크라이나에서 사용하게 될지를 묻는 말에 "업데이트해줄 게 없다"라며 미국 국방부에 문의해야 한다고 답변해 말을 아꼈다.

아울러 러시아가 북한·이란을 상대로 무기 지원을 요청하는 상황이 우크라이나 전쟁 긴장을 고조하느냐는 질문에는 "우리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폭력을 고조하는 상황을 목도해 왔다"라며 최근 민간 인프라 공격 등을 지적했다.

커비 조정관은 이어 "러시아는 계속해서 폭력을 고조하고 있다"라며 질문에 언급된 북한과 이란을 겨냥해 "러시아가 다른 나라와 접촉하는 방식은 우리가 우려하는 부분"이라며 우크라이나 전쟁은 물론 다른 지역으로 긴장이 확대될 수 있다고 했다.

커비 조정관은 러시아가 도발적인 전쟁을 일으킨 유일한 국가이자 침략자라며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긴장 고조 역시 러시아가 유발한다고 비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