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공장 들어서니 인구 '쑥'…"지역별 특화기업 키워야"
반도체 공장 들어서니 인구 '쑥'…"지역별 특화기업 키워야"
  • 뉴시스
  • 승인 2023.10.23 13: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위기 이후 수도권-비수도권 격차 점점 벌어져"
반도체 공장 들어선 평택·용인·화성, 인구 증가

이현주 기자 = 지역불균형 성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업·기술 패러다임 전환에 맞춰 지역별 특화기업을 성장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 SGI(지속성장이니셔티브)는 23일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산업역동성 비교와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지역별로 특화된 혁신기업의 탄생과 성장, 글로벌 선도기업 유치 등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조성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위기 전후 비수도권의 경제성장률과 인구 증가율을 계산한 결과 경제성장률은 2000~2007년 4.9%에서 2010~2021년 1.9%로 3%포인트 낮아졌으며 인구는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다.

수도권 지역도 금융위기 이후 경제성장률과 인구증가율이 낮아졌으나 하락 폭은 비수도권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아 지역 간 불균형 문제가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보고서는 "지역소멸을 막기 위해서는 기업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실제 국가첨단전략산업들인 반도체, 이차전지, 차세대 디스플레이 관련 글로벌 기업들이 소재한 평택·용인·화성·이천(반도체), 청주(이차전지), 천안·아산·파주(디스플레이) 등 지역은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추이를 보면 2011년에서 2022년까지 10여년 동안 연평균 증가율은 전국 0.1%, 수도권 0.4%에 그쳤지만, 반도체 공장이 들어선 화성의 경우 5.3%까지 치솟았으며, 평택과 용인도 각각 2.8%, 1.7%를 기록했다.

이차전지 공장이 있는 청주는 2.3%였으며 디스플레이 공장이 들어선 파주, 아산, 천안 역시 각각 2.5%, 1.8%, 1.3%로 평균 이상의 수치를 보였다.

김천구 SGI 연구위원은 "일차적으로 우수한 기업들이 지역에 설립되면 노동수요가 늘어나 인구 유입을 일으킨다"며 "이것이 교육, 여가·스포츠, 숙박·음식업 등 또다른 수요를 창출해 지역에 인프라가 확대되고 새로운 서비스 일자리가 생겨나게 만든다"고 말했다.

SGI는 또 수도권과 비수도권에서 기업들의 활력도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산업역동성이라는 개념을 사용했다. 산업역동성은 활동하는 기업 중 새로 생겨난 기업의 비율을 뜻하는'신생률'과 사라진 기업을 의미하는 '소멸률'로 나타낸다.

분석 결과 신생률은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부진한 현상이 관찰되며 소멸률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동반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에서 생겨난 기업들이 고성장을 기록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신생기업 중 지난 3년간 매출액이 연평균 20% 이상 늘어난 기업을 뜻하는 '가젤기업' 수는 수도권은 지난 10년간 약 400개(2011년 1586→2021년 1986개) 늘어난 반면 비수도권은 2011년 1179개에서 2021년 1051개로 오히려 감소했다.

김 연구위원은 "현재 기업의 수도권 집중 현상이 심화하면 기업들은 각종 생산비용에 따른 수익성 저하로 지속가능성이 떨어진다"며 "수익성 악화로 해외로 빠져나가려는 기업들을 지역으로 이전시키고 탄소중립, 디지털전환 등 산업 패러다임 전환기에 알맞은 반도체, 그린 비즈니스, 첨단 소부장 관련 글로벌 기업을 유치하는 것이 지방소멸을 막고 국가 산업경쟁력을 키우는 방법이 될 것"이라고 제시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