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기 피습' 이재명 퇴원…"상대 없애는 전쟁같은 정치 종식 바라"
'흉기 피습' 이재명 퇴원…"상대 없애는 전쟁같은 정치 종식 바라"
  • 뉴시스
  • 승인 2024.01.10 17: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존중·공존 정치 복원된다면 제 목숨 아깝지 않아"
당분간 자택서 치료 지속…당무복귀시점 안 정해져
원칙과상식·이낙연 탈당에는 직접적 입장 밝히지 않아
최진석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퇴원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임종명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2일 흉기 피습 8일만인 10일 입원 중이던 서울대병원에서 퇴원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11시께 퇴원 수속을 밟은 뒤 병원 밖에서 "상대를 죽여 없애야 하는 전쟁 같은 이 정치를 이제는 종식해야 한다"면서 "증오의 정치, 대결의 정치를 끝내고 서로 존중·상생하는 정치로 복원하는 이정표가 되길 소망한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피습 당한 목 부위에 커다란 밴드를 부착하고 마스크를 쓴 채 걸어 나왔다. 이어 허리 숙여 인사하고 목 부위를 몇 번 만지고 목소리를 가다듬은 뒤 메시지 발표를 시작했다.

이 대표는 "존경하고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 먼저 심려 끼쳐드려 죄송하다. 그리고 감사하다"며 "국민 여러분께서 살려줬다. 국민 여러분께서 살려준 목숨이라 앞으로 남은 생도 오로지 국민을 위해서 살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함께 사는 세상, 모두가 행복하고 희망을 꿈꾸는 그런 나라, 꼭 만들어서 보답하겠다"고도 했다.

그는 "모두가 놀란 이번 사건이 증오의 정치, 대결의 정치를 끝내고 서로 존중하고 상생하는 제대로 된 정치로 복원하는 이정표가 되길 진심으로 소망한다"며 "상대를 죽여 없애야 하는 전쟁 같은 이 정치를 이제는 종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서로 존중하고, 인정하고, 타협하는 제대로 된 정치로 복원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정치가 어느 날인가부터 이 절망을 잉태하는 죽임의 정치되고 말았다"면서 "이제 이번 사건을 계기로 우리 모두가 되돌아 보고, 저 역시 성찰하고 그래서 희망을 만드는 살림의 정치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저부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피습 후 조처해준 모든 인사들을 향한 감사 인사도 전했다.

이 대표는 "각별하게 우리 부산 시민 여러분, 그리고 생사가 갈리는 그 위급한 상황에서 적절하고도 신속한 응급조치로 제 목숨을 구해준 부산 소방, 경찰, 그리고 부산대 의료진 여러분께 각별한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리고 수술부터 치료까지 최선을 다해준 서울대병원 의료진께도 감사 말씀을 전한다"고 했다.

그는 "다시 한번 말씀드리거니와 이제 증오하고 죽이는 이런 전쟁같은 정치, 이번 사건을 계기로 사라지면 좋겠다"며 "저도 노력하겠다. 존중하고 그리고 공존하는 그런 정치로 복원되고, 희망있는 나라로 우리가 함께 갈 수 있다면 남은 제 목숨이 없어진들 뭐가 그리 아깝겠나. 진심으로 다시 한 번 감사 말씀 드린다. 고맙다"고 덧붙였다.

이날 퇴원 현장에는 수십명의 지지자 및 유튜버들이 파란색 옷을 입거나 목도리, 모자 등을 착용한 채로 대기 중이었다.

이들은 취재진을 향해 이 대표 피습 당일 헬기 이송 논란이 인 것을 두고 취재진을 향해 고성과 야유를 보내기도 했다. 그러다 이 대표가 나오자 "이재명"을 연호하면서 "힘내세요" "건강하세요" 등 응원의 목소리를 전했다.

이 대표는 퇴원한 뒤 자택에서 당분간 치료를 이어갈 예정이다. 당무 복귀 시점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권칠승 수석대변인은 이 대표 메시지 발표 후 기자들과 만나 "(당무 복귀 시점은) 자택 치료 경과와 의료진 의견을 종합해서 결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병원에서 종종 당무 관련된 업무를 봤던 것처럼 자택에서도 당무 볼 예정인지 묻자 "제한적이긴 하지만 중요 당무에 관한 의사결정을 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원칙과상식 김종민·이원욱·조응천 의원이 탈당 선언을 한 것과 이낙연 전 대표의 탈당 및 신당 창당 예고에 대한 입장이 있었냐는 질문에는 "직접 말씀 없었는데, 나와서 한 말씀을 보면 통합을 강조하는 말씀했으니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백브리핑에서 이 대표 퇴원에 대해 "조금 이른 감이 없지 않다. 그런데 완치가 되거나 완전히 회복되어서 지금 퇴원하는 것이 아니라 집에서 필요하면 통원 치료도 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또 "오늘 이 대표가 상처에 바른 것(대형밴드)을 봤는데 뭐, 웃고 있지만 이게 웃는 거겠나. 목에 칼이 들어왔는데 트라우마는 또 얼마나 심할 지, 이런 것도 걱정된다"고 했다.

이 대표의 상처 정도와 식사 여부에 대해 묻자 "저희(최고위원 및 지도부)가 목 부위를 먼저 확인했는데 큰 반창고를 붙이고 있어서 상처는 확인할 수 없었다"며 "(식사여부는) 제가 아직 확인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정 최고위원은 "국민들께 '더 이상 목숨을 노리는 증오의 정치가 없었으면 좋겠다' 이런 말씀하는 걸 들으니 참 착잡하고 여러가지 생각이 들었다"고 밝혔다.

향후 이 대표 경호 관련 대책에 대한 질문에는 "제일 중요한 게 건강이고 생명이지 않나. 이번 사건을 계기로, 그런 조치들을 해야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그런데 또 사람들과 근접한 거리에서 소통하고 자주 만나야 하는데 이걸 어떻게 할 것인가, 이것이 저희 딜레마고 고민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앞서 이 대표는 지난 2일 부산 방문 일정 중 60대 김모씨로부터 목 부위를 흉기로 찔렸다. 부산대병원에서 응급 치료를 한 뒤 헬기로 서울로 이송돼 서울대병원에서 수술과 입원 치료를 받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