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가구 중 1가구 최저임금도 못 번다…월 200만원 미만
5가구 중 1가구 최저임금도 못 번다…월 200만원 미만
  • 뉴시스
  • 승인 2024.03.01 08: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만원 미만 가구 비중 2019년 이후 최저
저소득 55.8% 적자살림…5년만에 가장 낮아
김종택 기자 = 경기도 수원시 화성행궁광장에서 열린 '노인일자리 채용한마당'을 찾은 어르신들이 취업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박영주 기자 = 작년 4분기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분배는 개선됐지만, 여전히 5가구 중 1가구는 월 소득이 200만원이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통계청의 가계동향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체 가구 중 19.08%는 월 소득이 200만뭔 미만으로 집계됐다. 100만원 미만인 가구 비율은 7.77%, 100만~200만원은 11.31%였다. 5가구 중 1가구는 지난해 최저임금(시급 9620원) 기준 월급인 201만580원보다 적게 번 셈이다.

가구원 수를 보면 소득 100만원 미만이 1.23명, 100만~200만원 1.45명, 200만~300만원 1.65명, 300만~400만원 2.02명, 400만~500만원 2.35명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가구원 수가 적었다.

가구주의 연령별로 보면 100만원 미만인 가구는 60.74세, 100만~200만원 61.89세, 200만~300만 53.43세, 300만~400만원 50.72세, 400만~500만원 49.37세 등으로 소득이 낮은 구간에 고령자가 많이 분포했다.

즉 고령층이거나 가구원 수가 적을수록 월평균 소득이 낮다는 의미다. 다만 월 소득은 없어도 자산이 많아 저축예금 등으로 생계를 꾸리는 가구도 여기에 포함된다.

월 소득 200만원 미만 가구 비중은 매년 줄고 있다. 4분기 기준 2019년 24.70%에서 2020년 23.48%, 2021년 21.52%로 점차 낮아졌다. 2022년(19.77%)에는 20% 아래로 내려왔으며 지난해에는 2019년 통계 개편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소득 100만원 미만인 가구는 월평균 64만1914원 적자를 냈다. 소비지출(114만5672원)이 처분가능소득(50만3758원)보다 많았기 때문이다. 100만~200만원 가구도 7만2940원의 적자 살림을 꾸렸다.

29일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4분기 전반적인 가구 소득이 증가한 가운데 소득 1분위(하위 20%) 저소득층 가구 소득이 3개 분기 만에 반등했다. 월 평균 소득 증가율도 소득 5분위(상위 20%) 고소득층보다 높게 나타나면서 상·하위 소득격차가 완화됐다.

반면 저소득층의 적자 가구 비중은 2019년 통계 개편 이래 가장 작았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적자 가구 비중은 55.8%로 1년 전(59.5%)보다 3.7%포인트(p) 낮아졌다.

적자 가구 비율은 소득에서 조세, 연금, 사회보험료, 이자 비용 등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이 많은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즉 버는 돈에 비해 쓴 돈이 더 많은 가구를 뜻한다. 저소득층 가구의 소득은 늘어난 반면 소비지출은 줄이면서 적자 가구가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1분기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99만1000원으로 전년 같은 분기보다 4.0% 증가했다. 반면 소비지출은 128만3000원으로 전년보다 1.6% 줄었다. 2분위(소득 하위 40%) 적자 가구는 25.3%로 2022년 4분기(26.7%)보다 감소했다.

고물가에 지출을 늘린 고소득층은 적자 가구 비중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3분위 적자 가구 비중은 20.1%로 같은 분기 기준 2013년(20.1%)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았다. 연간 단위로만 조사한 2017~2018년은 제외됐다.

4분위(소득 상위 40%)와 5분위(소득 상위 20%)의 적자 가구는 각각 14.8%, 7.3%로 전년보다 2.3%p, 0.3%p 늘었다. 전체 가구 중 적자 가구 비중은 24.7%로 전년보다 0.1%p 낮아졌다.

1분위 처분 가능 소득이 5분위 처분 가능 소득보다 더 크게 늘어나면서 분배 지표는 소폭 개선됐다. 작년 4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30배로 1년 전(5.55배)보다 축소됐다. 이 지표는 수치가 클수록 소득 불평등의 정도는 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소득, 분배가 지속 개선될 수 있도록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중산층 확대를 위해 사회 이동성 제고 등 다양한 대책을 순차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라며 "물가 안정을 위해 범부처 역량을 집중하고 경기회복세가 민간 중심으로 더욱 확산될 수 있도록 내수·투자·수출 등 경제 활력 제고 노력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