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해 자녀들이 우울증을 겪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자녀들이 우울증을 겪고 있다
  • 지태영 기자
  • 승인 2020.12.09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해 제한된 일상 속에서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모두가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다. 

연일 600명 이상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자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수도권은 2.5단계로 비수도권은 2단계로 격상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면서 코로나19로 인한 불안, 우울증 등 정신 질환이 전 연령층에서 나타나고 있다.

미국 건강 정보사이트는 올해 크리스마스와 같은 연말 연휴가 아이들에게 정신적으로 힘든 기간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설문 조사에 참여한 부모 가운데 3분의2가 팬데믹이 어린 자녀의 정신건강에 미칠 영향에 대해 걱정하고 있었다.

미취학 아동의 경우 불면증, 매달림 증가, 분리 불안, 짜증, 집중력 저하, 감정 과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미취학 아동에게는 안정과 교감이 필요한데 부모가 자녀와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편안함과 사랑을 느낄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자녀와 함께 코코아를 마시면서 대화를 하거나 밤에 동화를 읽어주면서 아이가 코로나19 이전의 일상을 느낄 수 있도록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이들은 부모의 감정을 흉내 내기 때문에 부정적인 감정을 드러내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초등학생의 경우 수면 문제, 식욕 변화, 급격한 기분 변화 등 미취학 아동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지만 코로나19 스트레스를 이해할 수 있는 나이이다. 다른 연령대보다 정신건강 회복력이 뛰어난 연령대이다. 가족끼리 할 수 있는 놀이 등을 통해 가족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또래 친구와의 화상통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우정을 이어가게 하는 것도 좋다. 자전거 타기와 같은 간단한 야외 활동 또한 도움이 된다.

중 고등학생의 경우 짜증 증가, 식욕과 체중 변화, 집중력 저하, 수면 습관 변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청소년은 코로나19로 인한 불안감과 우울증이다른 연령대에 비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의 청소년들은 또래와 비교해 뒤처지는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뒤처진다는 느낌을 갖지 않게 자녀를 지원할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자녀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자녀가 심각한 우울증세를 보인다면 정신건강 전문의에게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