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PS(복합부위통증증후군)란 신체의 특정부위에 극심한 통증이 유발되는 질환으로 아직까지 뚜렷한 발병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대한통증학회(회장 조대현)는 지난 18일 그랜드 힐튼호텔에서 열린 추계학술대회에서 CRPS 가이드라인 책자 발간에 따른 설명회를 가졌다.
여기서 CRPS 통증 장해에 대한 사회학적 지원 및 인식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최종범 대한통증학회 법제위원은 "CRPS는 치료가 거의 불가능하고, 어느 시점이 되면 증상이 멈춰 치료의 한계도 느낀다"며 "그렇게 되다 보면 환자 자체가 재정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고통을 받아 극단적인 결정까지도 생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CRPS 환자들은 육체적 정신적 고통 때문에 일상생활도 어려운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지만 대부분의 환자들은 제대로된 사회적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CRPS에 대한 사회적 시선의 문제가 제일 크다. 심지어 의사들도 이런 통증에 대해 인정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
이와 더불어 대한의학회의 장애평가 기준이 현재는 AMA(미국의학협회) 5판을 토대로 돼 있는데, 이는 장애인정 기준 등에 문제가 있다고 제안했다.
조대현 대한통증학회장은 "대한의학회의 장애평가기준 개정판(2판)은 AMA 5판을 토대로 작성 돼 있는데, 이와 가장 밀접한 학회를 배제하고 만들었다"며 "새로운 진단기준인 AMA 6판을 적용해야 마땅했다"고 말했다.
통증학회는 대한의학회의 공식입장을 전달한바 있으며, AMA 6판이라는 최신 진단기준이 있음에도 이를 제외한 것은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통증은 객관적인 지표가 없어 진단기준을 잡는데 문제가 생긴다. 향후 장애를 입은 환자들이 법원에서의 다툼이 예상되며, 보험회사와의 소송에 있어 불리한 판정을 받을 수 있어 2차적인 피해가 우려 된다.
조대현 회장은 "CRPS 환자는 손과 발이 절단됐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생활이 어렵다며, 이렇게 된다면 신체의 일부가 기능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CRPS 환자들이 배제되는 현상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CRPS 환자들의 장애인정이 꼭 필요하며, 사회적 지원 및 통증 장해에 대한 인정이 절실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