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41만명 "그냥 쉬었다"…정부, 재학 중 일경험·직장 적응 지원
청년 41만명 "그냥 쉬었다"…정부, 재학 중 일경험·직장 적응 지원
  • 뉴시스
  • 승인 2023.11.16 05: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늘어난 쉬었음 청년은 여성·20대 초반·대졸 이상
재학생 389억원·직장 적응에 44억…총 1조원 투입
 최진석 기자 = 서울 강서구 마곡동 서울창업허브엠플러스에서 열린 '2023년 제2회 강서구 취업박람회'를 찾은 구직자가 면접에 앞서 스마트폰을 살펴보고 있다.

임하은 기자 = 올해 10월까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쉰 청년은 월평균 41만명으로 집계됐다. 지난달은 '쉬었음' 청년이 전년보다 줄었지만 올해 들어 전체 청년의 5%가량까지 쉬었음 청년이 늘어났다. 정부는 1조원의 예산을 들여 청년의 사회적 고립을 막기 위해 재학·재직·구직의 단계별 지원책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16일 통계청이 전날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인구는 전년보다 6만명명 늘었다. 40대(1만5000명)와 30대(1만2000명), 60세 이상(3000명)에서 전년 대비 증가했고, 나머지 연령대는 전년 대비 감소했다.

15~29세 청년층은 전년 대비 7000명 줄면서 36만6000명으로 집계됐다. '쉬었음' 청년 인구는 최근 2개월 연속 감소했지만 1~10월 누계 월평균 규모는 41만명이다.

최근 청년층의 고용 상황은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청년 고용률은 46.4%로 역대 세 번째로 높았고, 실업률은 5.1%로 역대 가장 낮았다. 20대 후반의 고용률은 역대 최고인 72.7%를 기록했다. 청년 취업자도 전년 대비 8만2000명 감소했는데, 인구감소로 인한 영향이 대부분인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별다른 활동 없이 '그냥 쉬었음' 청년 인구가 올해 들어 증가 추세다. 월평균 41만명의 '쉬었음' 청년 규모는 전체 청년 인구의 4.9% 수준으로 과거 대비 훌쩍 늘었다.

'쉬었음' 청년은 2016년 전체 청년인구의 2.9%(26만9000명) 수준을 기록한 후 급증하다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 5.0%(44만8000명)까지 늘면서 정점을 찍었다. 이후 다소 감소하다 올해 들어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올해 증가세의 흐름을 보면 1월 8.2%(3만5000명), 2월 9.9%(4만5000명)로 훌쩍 늘었다가 3월 -3.5%(-1만5000명)로 다소 주춤하더니 4월부터 다시 큰폭으로 증가했다. 4월(8.9%·3만4000명), 5월(11.6%·4만명), 6월(5%·1만8000명), 7월(11.2%·4만명), 8월(5.9%·2만3000명)까지 5개월 연속 전년 대비 증가하다 지난 9월(-3.7%·-1만4000명)부터 지난달(-1.8%·-7000명)까지 두 달 연속 감소했다.

1~9월까지 '쉬었음' 청년은 주로 여성과 20대 초반, 대졸 이상을 위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여성이 전년보다 월평균 1만5000명 더 늘었고, 20대 초반은 1만6000명, 대졸 이상은 2만8000명 전년 대비 증가했다.

청년들이 쉰 사유로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움'이 32.5%로 가장 많았다. 이는 전년(27.8%)보다 4.7% 늘어난 수치다. 그다음은 '다음일 준비를 위해'(23.9%)가 뒤를 이었다.

청년층 노동시장 유입 촉진방안

이런 상황을 고려해 정부는 쉬었음 기간이 장기화하지 않도록 청년층의 노동시장 유입을 촉진하는 방안을 재학·재직·구직 단계별로 마련했다.

우선 학교를 다니는 청년들이 쉬었음 과정을 겪지 않고 자신에게 맞는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재학생을 위한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본격 도입한다. 내년에 389억원을 들여 올해 12개 대학에서 시범 운영한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50개교로 확대한다.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경험 기회를 민간과 공공으로 확대하는 데 1663억원을 투입한다. 중앙부처(5000명)와 공공기관(2만1000명) 청년인턴 규모도 늘리는 등 7만4000명에게 일경험 기회를 제공할 방침이다.

내년도 기준 44억원을 들여 신입사원의 직장 적응을 돕는 '온보딩 프로그램'도 신설한다. 청년이 중시하는 '워라밸'(일과 생활이 균형을 이루는 직장문화)을 보장하기 위해 인프라 지원을 늘리고, 실근로시간을 단축한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도 지원한다.

이 밖에도 취약청년에 대한 지원도 강화된다. 돌봄부담이 큰 가족돌봄청년에게는 자기돌봄비(연 200만원)와 일상돌봄서비스(월 70만원)를 지원하고, 자립준비 청년에게는 자립수당을 월 40만원에서 50만원으로 늘리고, 전담인력 등도 확대한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날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일부 청년들이 여전히 원하는 일자리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노동시장 밖에 머물고 있어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재학-재직-구직’ 단계별로 조기 지원과 사전적 대응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