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오늘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 발표…무슨 내용 담기나
정부, 오늘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 발표…무슨 내용 담기나
  • 뉴시스
  • 승인 2020.03.24 09: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채안펀드로 CP도 매입"
"CP매입기구 설립 포함안돼"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출렁이는 금융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대책을 24일 내놓는다. 특히 이번 대책에는 증권, 채권 시장에 이어 단기자금 시장과 관련한 대책도 포함돼 있어 금융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대통령 주재 2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증권, 채권시장과 단기자금시장 대책을 포함한 금융시장 안정화방안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비상경제회의가 끝난 직후 신속한 증시안정펀드 조성을 위해 출자금융사를 대상으로 한 '1차 관계자 회의'도 연다. 이후 오후 1시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브리핑에 나설 예정이다.

전날인 23일 은 위원장은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금융지원 협약식' 후 기자들과 만나 "증안펀드 규모 등을 포함해 구체적인 내용을 내일(24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정부가 밝힌 안정화 방안은 채권·증권시장안정펀드 조성과 코로나19 피해 대응 채권담보부증권(P-CBO) 프로그램 등이다.

정부는 지난 20일 1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최소 1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를 조성하고, 자금소진 추이를 보며 필요시 규모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채안펀드는 채권시장 경색으로 인해 자금난을 겪는 기업들의 유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펀드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도 10조원 규모로 조성, 필요할 때마다 자금을 지원하는 '캐피털 콜(capital call)' 방식으로 5조원을 지원한 바 있다.

당시 은행과 보험을 비롯한 91개 금융기관이 출자했고, 한국은행이 각 금융기관 출자금액의 50%까지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 등의 방식으로 유동성을 지원했었다. 한은은 회사채와 CP를 매입하는 것이 현행법상 불가능한 만큼, 이번에도 RP나 국고채를 매입해 채안펀드에 출자한 금융기관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간접적 지원 방식을 취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날 한은은 지난 19일 1조5000억원 규모 국채를 매입하기로 한 데 이어, 한국증권금융 등 비은행 기관 5곳을 대상으로 RP 매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RP 대상 기관은 미래에셋대우, 삼성증권, 신영증권, NH투자증권, 한국증권금융 등이다. 오는 24일 기일물(14일물 또는 28일물) RP 매입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 RP 대상 증권도 국채와 정부 보증채,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저당증권(MBS), 은행채 등에서 공기업 특수채까지 확대키로 했다.

특히 정부는 이번 채안펀드를 통해 회사채뿐 아니라 기업어음(CP) 매입에도 나설 예정이다.

은 위원장은 CP 매입과 관련해 "시장이 분리된 게 아니고 다 연결돼 있다"며 "채안펀드에서 남는 여유가 있으면 CP를 매입해 채권 시장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융통성 있게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2008년 당시 조성된 채안펀드는 3년 만기 중도환매 금리의 사모펀드 형태로 운용됐고, 신용등급이 AA- 이상인 회사채·여전채·은행채와 A2 이상인 프로젝트파이낸싱 자산담보부기업어음(PF-ABCP), P-CBO등이 투자대상이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CP 시장을 중심으로 신용경색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만큼, CP도 매입대상에 포함한 것으로 보인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해 1~12월이 만기인 국내 회사채는 47조6388억원으로, 이중 6조5495억원이 4월 중 만기가 도래한다.

SK증권은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금융채를 제외한 회사채는 37조1000억원, CP·전단채는 78조8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윤원태 SK증권 연구원은 "오는 6월 이전까지 돌아오는 물량은 회사채 2조5000억원, CP·전단채 25조8000억원"이라며 "보수적으로 50%가 상환이 안될 경우만 따져도 채권시장안정 펀드가 대략 15조원 이상 규모는 있어야 시장은 안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짚었다.

다만 CP매입 기구를 설립하는 방안은 이번 대책에 담기지 않는다.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CP매입기구(CPFF) 설립을 통해 CP 매입에 나서면서, 일각에서는 한은도 연준처럼 기구를 만들어 회사채나 CP를 직접 매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은 위원장은 CP매입 기구 이번 대책에 포함됐는지를 묻는 질문에 "아직 없다"고 답했다

한은도 "연준이 기구를 설립해 CP 등을 매입하는 것은 정부의 지급보증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라며 "회사채와 CP 직접 매입은 정부 보증이 없는 경우 이를 시행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아울러 금융권이 공동으로 자금을 출자해 필요할 때마다 일정 금액을 투입하는 증시안정펀드는 채안펀드와 마찬가지로 10조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008년 총 5150억원 규모로 조성됐지만, 당시보다 시장규모가 커지고 위기상황이 더 심각하다는 점 등을 감안해 조성 규모가 10조원으로 대폭 늘어날 것이란 예상이다.

은행권에 따르면 KB금융·신한금융·우리금융·하나금융·NH농협금융지주 등 5대 금융지주는 이 채권안정펀드와 증시안정펀드 조성을 위해 각각 2조원씩 총 10조원을 출자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밖에 코로나19 피해 대응 P-CBO는 6조7000억원 규모로 발행된다. 산업은행이 유동성 리스크가 있는 기업의 회사채를 인수한 후 주채권은행·신용보증기금에 매각하고, 신보가 신용을 보강해 시장안정 P-CBO를 발행하는 방식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